로고

허광희

허광희

소속

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AI요약

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허광희 교수는 건설 구조물의 안전과 재난 대응이라는 중요한 과제 해결을 위해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신 IoT 기반 생체모방 센싱 시스템과 MRG 댐퍼 기술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건전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진 및 화재 등 비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 및 강 섬유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모르타르 연구를 통해 건설 재료의 성능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K-하이테크 플랫폼 사업에 참여하며 미래 건설 기술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허광희 교수의 연구는 더욱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허광희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허광희
직책교수
이메일heo@konyang.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건양대학교
부서 학과해외건설플랜트학과
사무실 번호0417305631
연구실공공안전연구소
연구실 홈페이지http://www.bissys.org/
홈페이지https://pharm.konyang.ac.kr/prog/profsrSearch/faculty/sub01_01/buseo/view.do?insa_no=MTk5MTA1&buseo_cd=32101300&searchCondition=buseo_cd&searchKeyword=32101300&pageIndex=1

경력정보

회사명건양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해외건설플랜트학과 교수

중요 키워드

#유지관리#콘크리트#비상계단#GPR#센싱시스템#복합재료#스마트구조물#재난대응#면진장치#건설구조물#추진마찰#지하맵핑#댐퍼#제진기술#구조물안전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 자문/이전] - GPR 안테나 및 시스템 개발 (최대 5m 탐지, 공간 해상도 0.25m 이하) - 활용 및 지도 분야: 사회 기반시설 보호, 재난 위험 방지, 지하 구조 변동 확인, 지뢰 탐지, 터널 라이닝 배면 탐사, 문화재 발굴, 고층건물 지반 상태 검사 등 [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방재학회 정회원 - 한국방재학회 논문 정회원 및 교신저자 [연구과제 참여] - 한국연구재단 및 교육부 연구과제 지원 (NRF-2018R1A6A1A03025542)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 건설 구조물 안전 및 유지관리 기술 - 지하 탐사 및 매핑 기술 (GPR) - 댐퍼 및 제진 기술 - 복합재료 및 콘크리트 역학 특성 - 센싱 및 모니터링 시스템 [대표 연구 내용] 1. GPR을 이용한 지하 맵핑 연구 문제 정의: 지하매설물, 지하수로, 공동 등 지하 구조물 파악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 기반시설의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재난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술 우위: 최대 5m 깊이까지 탐지가 가능하고, 0.25m 이하의 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8MHz 구동 주파수 GPR 안테나 및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지표면 직접 반사파를 제거하는 수신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 2D 및 3D 프로파일 해석 기술을 통해 지하 매설 정보를 정확히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업 가치: 사회 기반시설을 보호하고 재난 위험을 방지 및 대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건설 현장 및 도시 안전 관리의 효율성 또한 증대됩니다. 2. 댐퍼 및 제진 기술 개발 문제 정의: 지진 및 외부 진동으로부터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기술 우위: MRG(Magneto-Rheological Grease) 댐퍼, 전단형 MRG 댐퍼, 폐쇄식 전단형 MRG 댐퍼 등 다양한 댐퍼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해당 기술은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사업 가치: 건축물, 교량 등 주요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재난 대비 시스템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생체모방 센싱 시스템 및 무선 계측 시스템 문제 정의: 구조물의 건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기술 우위: IoT 기반 MIMO형 생체모방 센서노드 및 센싱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달팽이관 원리를 기반으로 한 무선 계측 시스템을 통해 동적 응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업 가치: 실시간 구조물 건전도 진단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선제적 안전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4. 강관 추진마찰저항력 산정 기법 연구 문제 정의: 터널 굴착 시 강관에 작용하는 마찰저항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됩니다. 기술 우위: 모형 토조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강관 추진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추정하고 검증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습니다. 사업 가치: 터널 및 지하 구조물 건설 시 공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사 비용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공학박사

보유 기술 로딩 중...